docker lifecycle
도커 이해하기 > https://www.notion.so/b67ed727aea4467cbc3226bb0c8e8336
대충 정리하면
docker의 registry에 image들이 저장되어있다.
우리는 docker pull 로 그 image를 가져올 수 있고,
가져온 그 image를 create로 container로 변환할 수 있다.
또 그 container를 start 하여 memory에 올려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pull, create, start를 한번에 run으로 처리할 수 있다.
image vs container
상세하게 쓰려면 쓸 말은 많지만 간단하게 정리하면
container는 image를 실행한 상태로, 프로세스를 격리된 공간에서 실행한 상태이다.
docker pull ~~
docker ps ☞ pull받은 image 안 보인다. container로 올려야 보인다.
docker image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 docker ps
가동중인 container만 출력한다.
- 옵션 a
가동중 or 멈춘 container 모두 출력한다.
docker-compose
- 설치 방법 및 개념 참고
https://hongd99.tistory.com/108
- docker-compose up -d(백그라운드 실행)
up :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image와 build 설정은 docker-compose.yml에서 할 수 있다.
- docker-compose down
stop & remove 동시에
+
+
만약, docker-compose up 하고 ctrl + c로 벗어나면 exit 상태 (stop만)
- docker-compose.yml의 image와 build
이건 개인적으로 내가 헷갈렸던 것인데,
docker-compose up을 하면 컨테이너를 생성 및 실행한다고 했다.
그런데, docker lifecycle보면 image를 먼저 pull 해와서 container로 create 해야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docker-compose에서 up하기 전에 이미지는 어떻게 pull 해오는가?
☞ 이에 대해 내가 찾은 답변은,
이렇게 Dockerfile로 이미지를 자체 빌드하는 경우에는 docker-compose.yml > service > build 로 작성하고,
원격(registry)에 있는 이미지를 pull 받아 사용할 거면 docker-compose.yml > service > image로 작성한다. +++"이미지가 없으면 자동으로 pull하기 때문에 로컬에 수동으로 로컬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 나중에 다시 찾아볼 지식들
1. Dockerfile 작성법
2. docker-compose.yml 작성법
3. docker-network 개념
'개발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save, load (0) | 2021.11.17 |
---|---|
docker image build & docker-compose up (0) | 2021.10.15 |
가상화방식의 역사(docker의 등장까지) (0) | 2021.08.12 |
docker-compose 개념 및 참고자료 (0) | 2021.08.08 |
Docker lifecycle (0) | 2021.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