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5

RSA 알고리즘 - 공개키 암호 시스템 - 메시지를 암호화 할 때 공개키를 사용하고, 복호화 할 때 개인키를 사용한다. key 생성 p, q (둘 다 소수, p!=q) n = p*q Φ(n) = (p-1)*(q-1) (오일러 파이 함수 Φ(n) = 1~n-1까지의 양의 정수 중 n와 서로소 관계에 있는 정수 개수) gcd(e, Φ(n)) = 1 인 e 구하기 (여러 값 중 하나 고르면 된다) => 개인키 e가 된다. (e*d) mod Φ(n) = 1 이 되는 d를 고른다. => 공개키 d가 된다. 암호화 C: 암호문 M: 평서문 C = M^e (mod n) 복호화 M = C^d (mod n) 2021. 9. 9.
메일 프로토콜(SMTP, POP3, IMAP)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957131&memberNo=2521903 이메일 프로토콜 이해하기: SMTP, POP3, IMAP의 의미 [BY 가비아] 다양한 협업툴과 실시간 통신 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이메일은 여전히 업무의 대부분을 ... m.post.naver.com 메일 전송 및 수신 원리 메일 시스템 = 메일 클라이언트 + 메일 서버 메일 서버 - 그림에서의 A, B, C - 이 서버에는 각각의 메일 주소에 대응하는 mail box가 존재한다.(해당 이메일 사용자 모두에게 mail box가 생기는 듯) Sunny(발신자)가 이메일 보내기를 클릭하면 해당 이메일은 우선 Sunny의 이메일 서버 A에 도착한다. Sunny의 이.. 2021. 9. 7.
brainfuck 롸업 정리(wpscan, pop3 포함) https://github.com/rkhal101/Hack-the-Box-OSCP-Preparation/blob/master/linux-boxes/brainfuck-writeup-w-o-metasploit.md GitHub - rkhal101/Hack-the-Box-OSCP-Preparation: Hack-the-Box-OSCP-Preparation Hack-the-Box-OSCP-Preparation. Contribute to rkhal101/Hack-the-Box-OSCP-Preparati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nmap 흠 smtp, pop3... 메일 뭐 하나보군 주목해야 할 부분(롸업 피셜) 해당 SSH 버전은 중.. 2021. 9. 7.
CVE-2014-6271 (shellshock) https://operatingsystems.tistory.com/entry/Shellshock-CVE20146271 [Vul] Shellshock (CVE-2014-6271) 우선, 간략하게 CVE-2014-6271 일명 Bash shellshock 취약점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취약점은 Akamai Technology의 Stephane Chazelas에 의해 발견되었다. CVE-2014-6271는 대부분의 Linux/Unix System에서.. operatingsystems.tistory.com - linux/unix system에서 사용되는 shell인 bash shell에 존재하는 취약점 - 취약한 버전 GNU Bash 4.3을 포함하여 이전 모두 bash-3.0-27.el4.2 bash-.. 2021. 9. 5.
shocker 롸업 정리 https://github.com/rkhal101/Hack-the-Box-OSCP-Preparation/blob/master/linux-boxes/shocker-writeup-w-o-metasploit.md GitHub - rkhal101/Hack-the-Box-OSCP-Preparation: Hack-the-Box-OSCP-Preparation Hack-the-Box-OSCP-Preparation. Contribute to rkhal101/Hack-the-Box-OSCP-Preparati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nmap udp 스캔도 했지만 모두 닫혀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것은 80 : apache 2222 : opens.. 2021. 9. 5.
ssh란 개념 - secure shell protocol -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 -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 원격 제어에 사용된다. - 컴퓨터와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ftp나 telnet같은 프로토콜도 있는데 ssh를 사용하는 이유는 '보안'이다. - ftp나 telnet으로 민감한 정보를 주고받는다면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넘기기 때문에 누구나 해당 정보를 열어볼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 ssh가 안전하게 통신하는 방식 일반적인 비밀번호 방식 X 한 쌍의 key를 통해 접속하려는 컴퓨터와 인증 과정을 거친다. (private key, public key) public key .. 2021. 9. 5.